티스토리 뷰

Storage

실용한자, 부서/육서의 개념: 다문다독다상량(多聞多讀多商量), 한자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

rhys
반응형
한자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


多聞多讀多商量(다문다독다상량)

多 많을 다  聞 들을 문  多 많을 다  讀 읽을 독, 구절 두  多 많을 다  商 장사 상  量 헤아릴 량(양)


간결하고 명료한/다의성과 함축성이 풍부한 예술적인 문장을 구사하기 위해

한국어의 70% 이상을 차지하는 한자어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


보통 명사, 관념어, 추상어로 2자어와 3자어가 대부분 명사로 대개 '―하다' 를 붙여 용언화하며 복합어 형성력도 좋다.


한국 고유의 어휘보다 한자어를 더 품위 있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며, 관념어와 학술어의 태반을 한자어가 차지하기 때문

I.C.(India & China) 시대, 세계의 정치· 경제· 사회· 문화에서 무게의 중심은 한자문화권



微笑 含笑 苦笑 冷笑 失笑 嘲笑 大笑

拍掌大笑 呵呵大笑

破顔大笑

抱腹絶倒

一笑一少 一怒一老, 笑門萬福來



한자의 개념


한(漢)

물 수(氵)에 진흙 근(堇=황토의 뜻)을 합친 자로 강 이름.


자(字)

집 면(宀)과 아들 자(子)를 합친 자.

집(宀)에서 부모가 아이(子)를 낳는 것처럼, 상형과 지사의 글자로 결합해 회의 · 형성 등의 ‘문자’를 만듦.


자전(字典)과 옥편(玉篇)

옥편은 중국의 자전 중의 하나로 중국 양(梁)나라 남조(南朝) 고야왕(顧野王)이 엮어 543년 완성된 서책의 제목.

옥편은 자전 형식의 서책이지 자전(字典)의 대명사로는 같이 쓸 수 없다.



부수의 개념

부수는 한자를 자형(字形) 상 같은 또는 비슷한 요소로 분류, 배열할 경우 그 부(部)의 대표가 되는 글자. 한자 학습에는 부수(部首) 학습이 최선의 방법 중에 하나

후한시대의 허신(許愼)이 편찬한 《설문해자(說文解字, 121년)》에서 ‘일(一) · 이(二) · 시(示)’ ~ ‘유(酋) · 술(戌) · 해(亥)’ 까지 540부로 나눈 것이 문헌 기록상 처음 현행 한한사전(漢韓辭典)은 일(一) ~ 약(龠)까지 214부수를 획수 순으로 배열 《강희자전(康熙字典, 1710년), 49,030자》에서 확립



육서(六書)의 개념 - 문자 구성 분류

상형(象形):모양(形)을 있는 그대로 본떠서(象) 한자를 만드는 방법

지사(指事): 추상적 개념[事]을 기호화하여 형상화시켜 글자를 만드는 방법

회의(會意): 뜻과 뜻을 합하여 새로운 뜻의 글자를 만드는 방법

형성(形聲): 한 글자에서는 소리를 따오고 다른 글자에서는 모양을 따다가 그 모양에서 뜻을 찾아 새로운 뜻의 글자를 만드는 방법


육서(六書)의 개념 - 문자 사용 분류

전주(轉注): 본래의 뜻이 확대되어 그 뜻이 바뀐 글자

가차(假借) 모양이나 소리나 뜻을 잠시 빌려 다른 뜻을 나타내는 방법


출처: 중앙대학교 신현규 교수님



한자문화권, 각 나라의 쓰기 방법 차이


반응형

댓글